학만산 상한론 강의 111

제9강 태양병병정의 시간절율-5

이어서 제8조를 봅시다. ‘약욕작재경자, 침족양명, 사경부전즉유.若欲作再經者,鍼足陽明,使經不傳則愈’ ‘약욕작재경若欲作再經’ 을 우리 교재에서는 ‘태양의 사기가 풀리지 않고 양명으로 전해지려고 하면’ 이라고 해석했는데, 나는 이 해석이 그 의미를 약간 제한한 것이라고 봅니다. 우리가 앞에서 칠일에 행기경진行其經盡한다고 했으므로 욕작재경欲作再經은 이 병이 두 번째 병정으로 들어가려고 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칠일이 하나의 자연병정인데, 칠일 만에 좋아지지 않아서 두 번째 칠일에 들어가려고 한다고 욕작재경을 넓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두 번째 칠일로 들어가는 병사病邪는 태양에 있는 것일까요? 아니면 다른 경經으로 전해진 것일까요? 병사가 태양에 있으면서 전경傳經되지 않은 채 그대..

제9강 태양병병정의 시간절율-4

그러면 현재 우리는 칠일절율이 어떻게 나타나게 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칠일절율은 월절율의 1/4인데 그믐과 보름 때에 강하호해江河湖海의 밀물 썰물의 높낮이가 같지 않은 것처럼 생명의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도 다릅니다. 상현달일 때는 초칠일이고, 하현달일 때는 23일로, 지구의 물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달라 생명 형성 과정에 미치는 영향도 다릅니다. 이렇게 한 달을 그믐, 보름, 상현달, 하현달로, 28일을 넷으로 나누면 하나의 분량이 바로 칠일이며, 그래서 칠일절율은 월절율의 사분의 일로, 바로 사계절율이 년절율의 사분의 일인 것과 같은 것으로 이처럼 칠일절율은 바로 여기서 나오게 된 것입니다. 그러면 칠일절율을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서 보고 만지듯 가까이 느낄 수 있을까요? 가능합니다. 고양이는 임신 ..

제9강 태양병병정의 시간절율-3

그러면 이 칠일절율이 정말로 존재할까요? 미국 의사 Halberg(Franz Halberg1919-2013)란 분이 있는데, 아마 대개 80세 정도 되셨을 거라 생각됩니다만, 1982년 그가 중국에 강의하러 오셨을 때 우리 북경 중의학대학의 유학생소원留學生小院에서 강의하셨습니다. 그 때는 앞 건물이 아직 지어지지 않았을 때라 뒷 건물의 조그만 교실, 아마도 이 교실의 1/2 크기만 했을 터라 그의 강의를 들은 사람은 열 몇 사람이었는데 나도 그 때 그 자리에 있었습니다. Halberg 교수는 그가 어떤 실험을 했었는지 강의했습니다. 그는 20여세에 의학연구를 시작했는데, 그의 친구와 함께 인체의 생리리듬에 대해 연구했습니다. 그는 그 친구에게 물었다고 합니다. " 너, 내 실험에 잘 따를 수 있겠니?"..

제9강 태양병병정의 시간절율-2

아래에서 우리는 무엇을 양수칠陽數七이라 하고, 무엇을 음수육陰數六이라고 하는지의 문제에 대해서 이야기 할 것인데 이 문제에 대해서는 역대 의가들의 주석과 화법이 모두 그다지 일치하지는 않습니다. 나는 여기에서 당대唐代 공영달 孔穎達의 상서정의尚書正義에 나오는 한 구절을 인용하겠습니다. 그러면 거기에서 무엇이라 했을까요? ‘천일생수天一生水,지이생화地二生火,천삼생목天三生木,지사생금地四生金,천오생토天五生土,차기생수야此其生數也。여차즉양무필如此则陽无匹,음무우陰无耦,고지육성수故地六成水,천칠성화天七成火,지팔성목地八成木,천구성금天九成金,지십성토地十成土,어시음양각유필우於是陰陽各有匹偶,이물득성언而物得成焉,고위지성수야故谓之成數也。오행지체五行之體,수최미水最微,위일爲一。화점저火漸著,위이爲二。목형실木形實,위삼爲三。금체고金體固,위..

제9강 태양병병정의 시간절율-1

모두들 안녕하세요? 이제 강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우리가 앞 강의에서 강의했던 내용은 태양병의 제강과 태양병의 분류였습니다. 태양병의 제강원문은 바로 “태양병, 맥부, 두항강통이오한太陽病, 脉浮, 頭項强痛而惡寒”이었습니다. 이 한 조문은 세 개의 증상을 늘어 놓은 것입니다. 사실 이 세 개 증상에서 맥부脉浮는 임상에서 표증表證으로 진단하게 하는 의의로 넓게 쓰이며, 두항강통頭項强痛은 태양경맥이 사기를 받아 태양경기太陽經氣가 잘 흐르지 않게 되었다는 것을 그 위치로써 나타내어 태양병을 진단하게 하는 증상입니다. 오한惡寒은 표증의 공통되는 특징이라 할 수도 있고, 리양裏陽이 허虚하다는 것을 나타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태양의 중풍표증中風表證을 진단하려면 이 세 개의 조건이 반드시 갖춰져야만 합니다. 이 세 개의..

제8강 태양병의 분류제강-5

“약피화자, 미발황색, 극즉여경간, 시계종 若被火者,微發黄色,劇则如驚癎,時瘈瘲” "약피화자若被火者”에서 피화被火가 가리키는 뜻은 화火 치료법을 쓰지 말았어야 할 때 썼다는 뜻입니다. 화 치료법이라면 어떤 치료법들이 있을까요? 화구火灸,화침火鍼,화울火熨,화훈火熏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것이 상한론 중에서 다루어진 화 치료법들입니다. 화침은 옛날에는 알콜 램프가 없었기 때문에 침 위에 솜으로 둘러 싼 다음 면실유를 적신 뒤 불을 붙여 빨갛게 달군 다음에 혈 자리를 찌르는 방법을 썼습니다. 한漢 대의 화침은 출토된 문물로 볼 때 어떤 것은 매우 굵어서 자전거바퀴 살대 보다 약간 가는 정도인 것도 있습니다. 이런 침을 벌겋게 달구어 찌른다면 긴장되고 겁도 나는데다 여기다 그 아픔까지 더해져서 온 몸이 땀범벅이 되지..

제8강 태양병의 분류제강-4

이제 제6조를 봅시다. 제6조의 원문은 비교적 긴 편입니다. "태양병, 발열이갈, 불오한자, 위온병 太陽病,發熱而渴,不悪寒者,爲温病" 온열사기溫熱사기와 풍한사기風寒邪氣는 사기의 성질이 다릅니다. 온열사기는 사람들의 음액隂液을 가장 쉽게 손상시키므로 온열사기에 걸렸을 때 가장 먼저 음액이 부족하여 일어나는 구갈口渴이 나타납니다. 온열사기는 양사陽邪라 양사가 표를 상하면 위양衛陽에 병리성 흥분을 일으키므로 발열發熱이 가장 먼저 생깁니다. 그러므로 이 발열과 태양 중풍의 발열은 병기病機가 기본적으로 동일합니다. 온열사기가 기표肌表를 손상하면 인체의 양기가 일어나 사기에 대항하느라 위양이 병리성으로 흥분하게 되므로 바로 발열이란 이 증상이 가장 먼저 출현하는 것입니다. 오한惡寒이라는 증상은 한사가 양기를 침범하..

제8강 태양병의 분류 제강-3

‘맥음양구긴脉陰陽俱緊’ 여기에서 양맥陽脈이 가리키는 것은 촌맥寸脈이며, 음맥陰脈이 가리키는 것은 척맥尺脈입니다. 실제로 이 음양맥陰陽脉은 촌관척寸關尺 세 맥을 합해서 이르는 말인데, 이것이 태양병이란 전제 아래에서 긴緊하다는 것이므로 촌관척 삼부맥이 모두 부긴浮緊한 것입니다. 긴緊은 한사寒邪가 왕성하다는 뜻으로 한사는 수인收引하는 작용이 있으므로 한사가 기부肌膚를 상하면 기부의 기혈이 삽체澁滞해지고 근맥이 구련拘攣합니다. 혈관도 근맥筋脈의 일부이므로 혈관이 구련하여 긴장도緊張度가 높아지기 때문에 맥을 보면 긴장도가 매우 높습니다. 긴은 한사가 왕성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부浮는 사가 표에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후로 우리가 뒷부분의 내용을 배우고 나면 바로 알게 되겠지만 상한론에서 ‘맥음양구긴’이 나타..

제8강 태양병의 분류제강-2

여러분 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수업에서 태양병의 제강과 태양병 분류 제강의 태양중풍증太陽中風證을 이야기했습니다. ‘태양지위병, 맥부, 두항강통, 이오한太陽之爲病,脉浮,頭項强痛,而悪寒‘을 우리는 태양병 전체의 제강으로 보았습니다. 왜냐하면 이 세 증상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태양 기표肌表에 사기를 받았을 때 생기는 증상의 임상적 특징을 제시하고 있으며, 태양병이 주로 표증表證임을 나타내고 있으므로 우리가 이것을 태양병의 제강으로 삼았습니다. 이후에 태양병이란 세 글자만 보아도 맥부, 두항강통 그리고 오한 이란 세 증상을 포괄하고 있다고 여겨야 합니다. 인체의 체질이 다르고 또 걸린 사기의 성질이 다르기 때문에 태양병에도 다른 유형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먼젓번에 ’태양병,발열,한출,오풍,맥완자,..

제7강 태양병의 분류제강-1

인체의 체질이 다르고, 또 감수된 사기의 성질에 차별이 있으므로 태양병에는 서로 다른 분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래에서 우리는 태양병의 분류 제강分類提綱을 보겠습니다. 제 9페이지 둘째 조항에 "태양병, 발열, 한출, 오풍, 맥완자, 명위중풍太陽病,發熱,汗出,恶风,脉缓者,名爲中風”이라 했습니다. ‘태양병太陽病’이라고 함으로써 먼저 병위가 태양에 있다고 확정하고 있으므로 이는 태양병 입니다. 다음이 ‘발열發熱’인데 이 발열을 이렇게 앞에 둔 것은 이 증후에서는 발열이 가장 먼저 나타난다는 것을 설명합니다. 그 병기病機는 풍양風陽이 위양衛陽을 상한 것으로, 풍사風邪와 한사寒邪를 비교하면 풍은 양사陽邪이므로 위양을 끌어내어 병리성의 흥분이 나타나도록 합니다. 양기가 무엇인가요? 양기는 열 에너지를 함유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