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8 Ⅳ.결론 1. 오지는 한의학의 기본 정서로 희, 노, 사, 비, 공이다. 2. 의가칠정은 경, 희로비사공, 우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3. 유가칠정은 희로, 애구, 애오, 욕의 네 개 층차로 구분된다. 4. 경, 희로비사공은 감각과 지각의 과정으로 각각 백과 신의 영역이다. 4. 애구와 우는 인지의 과정으로..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6 1)경(驚) 경은 현대 정서심리학에서 말하는 느낌 중에 가장 앞서는 과정으로 사물의 변화를 미처 인식하지 못했을 때의 놀람이며, 감각의 과정이다. 갑자기 큰 자극이 닥치면 기란(氣亂)해지게 되어 병리적인 기전이 나타나지만 만약 몸과 마음이 튼튼하거나 자극의 양이 경미하면 기운이 ..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4 4. 유가의 칠정 동양에서는 예기·예운(禮記.禮運)에 춘추시대의 공자(BC551~ BC479)가 하위인정 희로애구애오욕 칠자 불학이능(何爲人情 喜怒哀懼愛惡欲 七者 弗學而能)5)이라 한 기록이 있는데, 이는 감정이 날 때부터 사람이 갖추고 있는 본능적인 것이라는 뜻으로 모든 감정을 이 일곱 ..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5 Ⅲ.고찰 1.정서의 함의 정서는 생리적 각성, 표현적 행동, 의식하면서 겪은 사고와 감정들의 혼합체로1), 자극에 대한 추론된 복합적인 반응들의 연쇄로서 인지적 평가, 주관적 변화, 자율체계 및 신경세포의 각성, 행동 충동성 그리고 복합적인 연쇄를 유발시킨 자극에 영향을 주도록 고안..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3 3. 의가의 칠정 한의학의 원전인 내경에서는 거의 모든 편에서 정서와 관련된 부분이 산견되지만, 정서의 생리, 병리는 주로 소문의 음양응상대론(陰陽應象大論), 거통론(擧痛論), 옥기진장론(玉機眞藏論)과 선명오기편(宣明五氣篇), 천원기대론 (天元纪大論), 오운행대론(五運行大論)과 ..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2 Ⅱ.본론 1. 현대심리학에서의 정서 현대 심리학에서는 Charles Darwin이 정서를 표현하기 위해 정서의 기능적 가치(fuctional value of emotions), 대립법(antithesis), 신경계의 직접적 작용(direct action of nervous system)이라는 세 가지 가설을 세웠고6) 그 뒤로 많은 연구자들이 정서를 정의하고자 노력하였는.. 한의심리학 2019.02.04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1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Chijeong in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understand meaningmeaning of emotion theory in Oriental meaningMedicine and Confucianism Methods: Comparative study about emotion theory between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in the recent study pub.. 한의심리학 2019.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