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심리학

儒家七情과 醫家七情에 관한 고찰-1

臥嘗 齋 2019. 2. 4. 22:43

儒家七情醫家七情에 관한 고찰

A Comparative Study of Chijeong in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early understand meaningmeaning of emotion theory in Oriental meaningMedicine and Confucianism

Methods:

Comparative study about emotion theory between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in the

recent study published at papers and specialty publications for emotion in oriental medicine and Confucian Classic.

Results:

A number of advanced opinion about relations between chiljeong in Confucianism and Oriental Medicine was obtained

Conclusions:

Chiljeong in Oriental Medicine is a part of in Confucianism and Chijeong concept in Confucianism is need to accept in the category of the Korean medical psychology .

Key Words:

Chiljeong in Confucianism, Chijeong in Oriental Medicine; Five Emotions; Basic Emotion; Ohzhi.

------------------------------------------------------------------------------------------------------ 

  This work was support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earch Grant, 2017

   

Ⅰ.서론





정서(情緖)는 삶을 채색해 주며 스트레스 상황에서 삶을 파괴하거나 구원해 줄 수 있어1) 심리학의 많은 부분에서 핵심적2)인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으며. 신체각성, 표현행동, 사고와 감정을 포함한 의식행동의 혼합물1)로 인식된다.

한의학에서도 일찍부터 정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내경에 이미 정서의 생리, 병리에 관한 비교적 자세한 논술이 있었고, 송 대의 진무택에 이르러 희노우사비경공(喜怒憂思悲驚恐)의 칠 종 정서를 칠정(七情)3,4)이라 하여 칠정학설을 정형(定形)하고 성숙시킨 뒤로 대부분의 의가들이 그 설을 따르고 있다.이 칠정이란 말은 춘추전국시대에 공자가 인정(人情)은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5)으로 배우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이라 하여 정을 일곱 가지로 나누고 이를 선험(先驗)적인 것으로 보았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서로 내용이 달라 이를 각각 의가칠정, 유가칠정으로 부르고 있다.

저자는 칠정이 의학과 심리학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음에 주목하여 의가칠정과 유가칠정의 의미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