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7

제26강 수기병-1

모두들 안녕하세요. 수업을 시작하겠습니다. 우리는 먼저 수업에서 태양변증太陽變證중 주로 심양허心陽虚에 관한 증후들을 강의했는데 심양허는 심장이 영양을 받지 못하여 동력이 부족한 것으로, 만약 “기인차수모심, 심하계, 욕득안……其人叉手自冒心,心下悸,欲得按……”하면 치료에 계지감초탕을 급전急煎,돈복顿服하여 급히 심양을 구해내야 합니다. 만약 심양허로 심신心神이 잠렴潜斂하지 못하고 부월浮越하여 번조煩躁가 나타나면 계지감초용골모려탕으로 심양을 온보溫補하면서 잠진안신潜鎭安神을 겸하여 다스립니다. 만약 심양허하면서 또 담탁痰濁이 마음을 어지럽혀 경광驚狂, 와기불안卧起不安하면 계지거작약가촉칠용골모려구역탕을 써서 온보심양, 잠진안신하면서 담탁을 녹이고 신지神志를 편안하게 함으로써 치료합니다. 만약 심양이 허한데 하초의..

제25강 심양허-2

위에서 우리가 강의한 세 가지 심양허를 치료하는 방증方證에서 가장 센 것이 계지감초탕증이었는데 그것은 심양허로 심장이 실충하여 심황, 심도한 급성발작이 나타나는 것으로 심주혈맥心主血脉기능의 실조이므로 계지, 감초의 용량을 많이 넣고 급히 달여 한꺼번에 먹는다고 했습니다. 뒤의 두 방증은 심주신지기능이 실조되어 나타나는 증상으로 하나는 주의력집중이 잘 안되고, 앉으나 누우나 불안하며, 번조한 증상으로 임상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증상입니다. 뒤의 방증은 잠이 들었을 때 정신이 경작불녕驚怍不寧한 것입니다. 계지감초용골모려탕증과 계지거작약가촉칠용골모려구역탕증은 모두 정신신경계통의 질병에 속하며, 심주신지 기능의 이상으로 일어난 증상인데 계지감초용골모려탕 적응증은 조금 더 가벼운 증상이며, 계지거작약가촉..

제25강 심양허-1

태양변증에서의 허한증虚寒證은 먼저 상초上焦의 심양허心陽虛 증후부터 이야기하겠습니다. 여러분 교재 제52쪽 제64조를 펴세요. “발한과다, 기인차수모심, 심하계, 욕득안자, 계지감초탕주지. 發汗過多,其人叉手自冒心,心下悸,欲得按者,桂枝甘草湯③主之。” 를 봅시다. 이 “모冒”자를 여러분이 《사원詞源》이나 《강희자전康熙字典》에서 찾으려면 어느 부에서 찾아야 할까요? “모冒”자는 무슨 부수部首로 찾아야 하죠? “목目”부에서 찾아야 한다는 사람들도 있는데, 목부를 강희자전에서 찾아보아도 모冒자는 없고, 사원에서도 목부에는 모자가 없는데 무슨 부로 찾아야 하죠? 어떤 사람은 “일曰”부에서 찾는데, 일부에도 강희자전이든지 사원에서든지 모자는 없습니다. 어느 부수에서 찾아야 할 지 한 번 생각해 보세요. 아? “멱冂j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