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의심리학

칠정연구七情硏究-황제내경의 정서론을 중심으로 -3

臥嘗 齋 2017. 12. 24. 11:18

3. 정감의 생리와 병리

음양응상대론과 천원기대론에서는 정서에 대해 다음과 같이 논술하고 있다. 자연에 사시와 오행이 있어 생장수장(生長收藏) 과 한서조습풍(寒暑燥濕風)이 나타나는 것처럼 사람에게는 오장(五臟)이 있어 5가지 기운의 변화로 희노비우공(喜怒悲憂恐)만들어진다. 오행이 돌아가며 오위(五位)에 분포함으로써 기후의 변화를 일으키는 것이 자연의 법칙이듯이 인체가 오장의 기기변화로 감정이 나타나는 것도 생리적 변화로, 이렇게 나타나는 희노사우공(喜怒思憂恐)을 오지(五志)라고 한다. 이 오지를 절제하지 못하면 기기변화를 일으켜 해당하는 장기를 상하므로 병이 생기는데, 이 감정들 간에는 서로 견제하는 작용이 있어 어떤 한 감정이 지나치게 고양되었을 때 그 상극이 되는 정지로 이를 억제할 수 있다.9,25)

또 거통론에서는 구기(九氣)를 말했는데 情緖와 관련된 것은 노(), (), (), (), (), ()6 종이다. 이는 오지에 경이 더해진 것으로 정서로 인한 기()의 생리적 변화와 병리적 변화의 기전을 설명하고 있다. ()할 때 기상(氣上)하는 것은 생리이나, 지나치면 기역(氣逆)이 되며 심할 때는 구혈()하고 손설(飱泄)하게 되는데 이는 병리이다. ()할 때 기완(氣缓)하여 기화지달(氣和志達)하고 영위(營衛)가 통리(通利)한다는 것은 생리를 말한 것이지만, 지나쳐서 기가 너무 풀어지면 병이 된다는 뜻을 행간에 숨기고 있다. ()할 때의 기소(氣消)는 생리와 병리를 동시에 표현한 것으로, 심계급, 폐포엽거, 이상초불통, 영위불산, 열기재중(心系急肺布葉擧而上焦不通營衛不散熱氣在中)은 병리기전을 설명한 것이다. ()의 기불행(氣不行)은 기

volume

outline

liver

heart

spleen

lung

kid

ney

Dan

jung

Gall

bladder

sto

mach

S5

Five emotion

nu

xi

si

you

kong

 

 

 

S8

Come out

 

 

 

 

 

xile

 

 

S17

Dream

nu

 

 

 

 

 

 

 

S19

Defeated by

nu

you

gong

bei

xi

 

 

 

S22

Illnessof viscera

nu

 

 

 

 

 

 

 

S23

Illnessof entrails

 

 

 

 

 

 

nu

kong

ditto

Leaning of Qi

you

xi

wei

bei

kong

 

 

 

S42

Wind

bei, nu

nuhe

 

 

 

 

 

 

S43

Paralysys

jing

 

 

 

 

 

 

 

ditto

Upward mo vement of Qi

 

kong

 

 

 

 

 

 

ditto

Cause of paralysys

 

yousi

 

 

 

 

 

 

S49

Untreated Qi

nu

 

 

 

 

 

 

 

S67

Five emotion

nu

xi

si

you

kong

 

 

 

S72

Emotion

 

 

 

bei

sang

 

 

 

 

ditto

comeout

 

 

 

 

 

xile

 

 

ditto

not easy

nu

 

 

 

 

 

 

 

S73

hurt

 

youchousilü

 

 

 

 

 

 

ditto

hurt

xinu

 

 

 

 

 

 

 

L4

hurt

 

chouyoukongju

 

 

 

 

 

 

L8

hurt viscera

beiai

chutisilü

you

chou

xile

shengnu

 

 

 

ditto

weakness

kong

bei

 

 

 

 

 

 

ditto

strength

nu

 

 

 

 

 

 

 

L20

cause of illness

 

xibei

 

 

 

 

 

 

L26

acupuncture

 

 

(xi)nu

 

 

 

nu

 

L28

moving by emotion

 

beiai

chouyou

 

 

 

 

 

 

L43

Dream

nu

kongwei

 

kongju

 

 

 

 

L66

hurt bv emotion

bennu

yousi

 

 

 

 

 

 

L78

Leaning of Qi

you

xi

wei

you

kong

 

 

 

ditto

entrailf

 

 

 

 

 

 

nu

 

S-Suwen L-Lingshu

Table1.Emotion in Canon of Internal Medicine

(氣下)의 생리가 지나쳤을 때 나타나는 병적 변화로 그 기전은 정각(精却)하여 상초폐(上焦閉)함으로써 기환(氣還하여 하초창(下焦脹)하는 것이다. ()하면 기결(氣结)하는 까닭은 마음에 둔 것이 있어 여기에 정신이 쏠리어 정기(正氣)가 류이불행(留而不行)하기 때문으로 역시 정도(程度)에 따라 생리, 병리가 나누어지는 것이다. ()은 오지에 속하지 않는 정서인데도 기란(氣亂)이라 하여 심무소의, 신무소귀, 려무소정(心无所倚神无所歸慮无所定)하는 기전을 밝혔는데 이는 자극에 대한 경각심이 생물의 생존에 필수불가결한 중요정서이기 때문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