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647

제28강 신양허증-2

신양허의 두 번째 방증은 또한 신의 음양양허번조증陰陽兩虚煩躁證인데, 이는 바로 제69조 복령사역탕증茯苓四逆湯證으로 “발한, 약하지, 병잉불해, 번조자, 복령사역탕주지. 發汗,若下之,病仍不解,煩躁者, 茯苓四逆汤湯主之”입니다. 이 조문에서는 증후가 번조 뿐이므로 복령사역탕茯苓四逆湯의 처방 내용으로 증상을 짐작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복령사역탕은 사역탕에 복령과 인삼 두 가지 약을 더 넣은 처방인데 인삼은 심음心陰을 기르고 진액을 보하는 작용이 있으며, 복령은 심기心氣를 보하는 작용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은 이 방증을 소음少陰의 양허陽虚로 조동躁動이 나타난 것으로 봅니다. 양허음성陽虚陰盛으로 조동이 나타났다는 것인데, 음성은 음한사기가 성한 것이므로 소음신양이 허쇠하고 음한이 내성하여 조동이 생긴 것으로 보는 ..

제28강 신양허증-1

여러분 안녕하세요? 시간이 됐네요. 강의를 시작합시다. 태양변증太陽變證은 태양병을 치료할 때를 놓치거나, 잘못 치료한 뒤 임상증후에 새로운 변화가 생긴 것을 가리키는데 이 새로운 증후는 또 육경의 바른 이름을 써서 이름을 붙일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이를 태양변증이라 부르게 된 것입니다. 우리는 앞에서 태양변증의 일부 증후들을 배웠습니다. 우리는 가장 먼저 변증의 치료법칙을 이야기했는데 그것은 “관기맥증, 지범하역, 수증치지. 觀其脉證,知犯何逆,隨治之”였습니다. 변증은 한하거나 열하거나, 허하거나 실하거나, 장에 있거나 부에 있거나 하여 변화가 아주 많으면서 겹쳐지고 뒤섞여 있으므로 (변증辨證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한론에서는 그 열증과 예들과 허한증의 예들을 들어 놓았습니다. 열증의 예로 우리는 앞에서 ..